생활정보 38

2024 (~ 2025.01.12) 서울빛초롱축제: 빛과 문화의 향연

서울의 대표적인 야간 빛 축제, 서울빛초롱축제(seoul lantern festival)가 2024년에도 찾아왔습니다.이번 축제는 '서울, 빛을 놀이하다'를 주제로 청계광장 및 청계천 일대에서 진행됩니다.2009년부터 시작된 이 축제는 올해로 16회를 맞이하며,다양한 빛 조형물과 체험으로 특별한 연말연시를 선사합니다.   축제 개요기간: 2024년 12월 13일(금) ~ 2025년 1월 12일(일)시간: 매일 18:00 ~ 22:00장소: 청계천 일대 (청계광장 ~ 삼일교) 주요 볼거리 서울빛초롱축제에서는 200여 개의 다양한 빛 조형물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서울의 문화적 매력을 반영한 이 조형물들은청계천을 아름답게 수놓습니다.  특히, 한국 전통 등불의 형상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

생활정보 2025.01.02

자동차세 연납 신청

자동차세 기준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누구나 1년에 1번에서 2번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연납할인을 받는다면 1월 한번연납할인을 받지 않는다면 전반기분을 6월, 하반기분을 12월에 걸쳐 나눠 냅니다.  대한민국에서 자동차세의 기준은 배기량(cc)에 따라 다르게 하고 있는데요.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동차세 기준표 (승용차 기준) 차량 종류배기량(CC)세율 (연간, 원/cc)예시 (연간 세금)경차 (1,000cc 이하)1,000cc 이하801,000cc 기준: 80,000원소형 승용차1,000cc 초과 ~ 1,600cc 이하1401,600cc 기준: 224,000원중형 승용차1,600cc 초과 ~ 2,000cc 이하2002,000cc 기준: 400,000원대형 승용차2,000cc ..

생활정보 2024.12.31

저렴하게 실비보험 가입하기 (실비보험 비교)

실비보험이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의 시스템 중가장 부러워하는 시스템 중 하나가 바로 건강보험 제도입니다.   미국에서는 보험이 없는 사람이 감기로 병원에 가도 수십만 원에서 백만 원이 넘는 비용이 든다는 이야기 들어 보셨나요?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는 수술이 아닌가벼운 증상으로 병원 방문 시 몇 만 원이면 진료가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 및 치료의 경우는병원비가 부담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나라가 아닌 보험회사에서 진료 및 치료에 사용한 비용을 일부 되돌려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실비보험(실손의료보험)입니다.   실비보험 주요 보장 항목    실비보험(실손의료보험)에서 보장해 주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입원비 - 입원 시 발생하는 병실료,..

생활정보 2024.12.23

주식매매 세금 국내, 국외(미장)

주식 매매 세금      요즘 코인이다 주식이다 열심히 일해서 돈 버는 것보다코인으로 주식으로 돈버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아서주식 매매, 미국 주식, 배당주, ETF 알아 보고 계신가요?  조금씩 조금씩 적은 돈으로 한다면 세금 걱정이야하지 않아도 되지만 혹시라도 모를 일확천금을 대비해서 주식에는 어떤 세금들이 있고 어떤 경우에 세금이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국내주식 매매와 해외주식 매매는 세금을 부여하는 기준 금액도 다릅니다.    국내 주식 매매 세금    일반 개미들이 국내 주식 매매를 하면서 내야 하는 세금은기본적으로 부여하는 증권거래세를 제외 하고는 없다고 봐야 합니다.  국내 주식에는 대주주의 거래에만 세금을 부여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주주의 기준은 코스피..

생활정보 2024.12.18

25년 아이돌봄 예산 삭감 이유

아이 돌봄 맞벌이 부부를 위한 서비스로 만 12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 양육부담 해소와 저출산 해소를 위해 만들어진 정부 지원 서비스입니다.  정부지원 서비스이다 보니 만 24세 이하인 부모의 경우 할인한부모 가정, 장애부모 가정, 장애아동 가정등 정부 지원금이 있습니다.  정부 지원금의 경우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하는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을 대상으로 하며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 합니다.   맞벌이의 경우는 부부합산소득의 25%를 경감하여 소득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 모의 계산기      예산 삭감 이유  23년 아이 돌봄 서비스 신청가구는 12만명에 이르지만 아이돌봄 인력은 2만명대 였습니다. 꾸준하게 아이돌봄 인력이 늘어나고..

생활정보 2024.12.12

청년도약계좌 2025년 280억 삭감 이유

청년도약계좌  만 19~34세의 년간 총급여액이 6000만 원(가입은 7500만 원까지 가능 기여금은 6000만 원 이하만 지급) 이하인청년이 5년동안 월 70만원을 입금하면정부 기여금을 포함해 약 5000만 원의 목돈을 수령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연 이율로 보면 약 6%에 해당하는 이자를 주는 것과 마찬가지 상품입니다.  급여가 낮아야 6%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400만 원 이하 6% 기여금 년간 총급여액이 4800만 원 초과인 경우 3% 정도의 정부 기여금이 지급됩니다.    흥행 실패 이유  처음에는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5년이라는 긴 기간과월 70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돈이 청년들에게는 부담으로 느껴져가입율이 저조해 졌습니다.  급여가 낮은 사회 초년생의 경우는 많은 금액을 저축하..

생활정보 2024.12.12

1980 광주민주화운동으로 보는 계엄령의 무서움

123 계엄사태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30분경 계엄령이 선포 되었습니다.  1980년이후로 약 45년만의 계엄령입니다.  역사의 그 시대에 살던 분들은 계엄령이라는 이름아래 탄압당하고 죽어간 많은 친구들과 지인들이 생각 날 것이고  현재 50대 중반인 세대는 그 시절의 계엄령을 기억한다면 이렴풋이 기억날 것입니다.  2024년의 계엄령이 현재까지는 유혈 사태 없이 지나가고 있어 계엄령의 처참함과 잔혹함을 알리기 위해  1980년의 광주에서 일어났던 끔찍한 일을 대변할 사진을 찾아 몇장 첨부 합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서울의 봄" 이라고 하는 영화를 보셔서 내용을 어느정도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만 1980년에 일어난 광주항쟁의 배경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 하겠습..

생활정보 2024.12.10

계엄령 절차

계엄령   계엄령에 관한 내용은 헌법 77조 1항에 있습니다.  “대통령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  계엄을 선포한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하고,    국회가 재적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의 해제를 요구한 때에는 대통령은 계엄을 해제하여야 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1949년 11월 24일에 제정된, 전시 ·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선포하는 명령." 또한 "..

생활정보 2024.12.05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철도노조 파업(24년 12월 5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파업  24년 12월 5일 첫차부터 무기한 파업을 진행합니다. 이유는 한국철도공사와 전국철도노동조합의 임금/단체교섭이 결렬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수도권 전철과 KTX는 평소 대비 70% 수준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출근시간에는 90% 이상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이용에 착오 없으셔서 출퇴근길에 영향 없도로 해야 겠습니다.  고속철도는 평소대비 67% 수준으로 운영 될 예정입니다.  한국철도공사와 전국철도노동조합의 조속한 합의로 파업이 빨리 종료 되어야 하겠습니다.

생활정보 2024.12.05

2024년의 계엄령 현재까지 몇번이나??

계엄령 계엄령이란? 헌법 77조 1항으로 “대통령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2024년 12월 3일 22시 30분 경 계엄령이 선포 되었습니다. 마치 '서울의 봄'이라는 영화 처럼 말입니다.     지금 까지 계엄령은 몇번이나 이뤄 졌고언제 이루어 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48년 4월 3일 - 여수/순천 일대 비상계엄 1948년 5월 - 제주 4.3 사건을 이유로 비상계엄 1952년 5월 - 이승만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시도하면서 비상계엄 선포1960년 4월 - 4.19 혁명을 계기로 비상계엄 선포   1961..

생활정보 2024.12.04